1. 로컬에 원격 저장소 추가후 push 추가할 파일을 add 명령어를 통해 추가한다. (작업 디렉토리(working directory) 상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에 추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Git 명령어) git add . git add -p 커밋 메세지를 입력한다. git commit -m "(message)" GitHub 레포지토리를 생성한 후에 아래 명령어를 사용한다. 로컬의 Git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로의 연결 추가 원격 저장소 이름에 흔히 origin을 사용한다. git remote add origin (원격 저장소 주소) 한다. - GitHub 권장 git branch -M main 이후 한다. git push -u origin main -u와 --set-ups..
GitHub는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들을 온라인 공간에 공유해서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함게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. GitHub GitLab bitbucket 등도 같은 종류의 서비스를 한다. 근데 구글 드라이브나 일반 클라우드 서비스로도 가능한 게 아닌가? 여기다가 프로젝트 폴더 올려놓고 같이 쓰면 되는 거 아닌가!?!? -> 일반 클라우드로 협업한다고 하면, 구성원들이 한 번에 한 명씩만 작업을 해서 이 친구가 작업을 해서 업로드를 한 다음.. 다른 친구가 그걸 다 다운 받아서 작업을 또 마치고, 또 그걸 클라우드에 업로드하고, 또 다른 친구가...(Recursion) 이렇게 되면 팀원들이 많을 필요가 없다. 많은 팀원들이 다 같이 출근해서 일을 할 수가 없지 않겠는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