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 파일의 삭제 및 이동과 관련한 명령어를 알아보자.
그냥 파일을 삭제하고 난 뒤 git status로 확인해보면, 파일의 삭제가 working directory에서 작업됐다고 나온다.
<파일 삭제 명령어>
git rm (파일명)
Git rm 명령어는 Git 저장소의 파일을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.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, 해당 파일이 Git 저장소에서 삭제되고, 삭제된 파일에 대한 변경사항이 Staging 영역에 추가된다. 이후 git commit을 실행하면 변경 사항이 확정되면서 파일이 정식으로 삭제된다.
이전 상태를 복원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한다.
<이전 상태 복원 명령어>
git reset --hard
<파일을 git에서 이동시키는 명령어>
git mv 현재파일명 새로운파일명
이 명령을 사용하면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고, 해당 변경사항이 staging area에 추가된다. 똑같이 commit하게 되면 파일의 이동이 확정된다.
<파일을 staging area에서 working directory로 이동>
git restore --staged (파일명)
이 명령어는 Staging area에서 파일을 working directory로 돌리는 데 사용한다. 이 명령어는 파일을 커밋하기 전에 staging area에서 다시 working directory로 가져오고자 할 때 유용하다.
이 때 --staged 옵션은 staging area의 파일을 대상으로 작업한다는 것을 나타낸다. 즉, restore 명령어를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의 변경 사항을 롤백하려면 이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.
'출입금지!! 개인공부방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reset의 3가지 옵션 (0) | 2023.09.12 |
---|---|
[Git] git의 원리(3가지 공간) (0) | 2023.09.12 |
GitHub 원격저장소 사용하기 (0) | 2023.08.03 |
GitHub는 무엇일까? (0) | 2023.08.03 |
(git) 브랜치 충돌 해결하는 방법 (0) | 2023.08.03 |